미국 기업 이야기

간단 기업 소개 ! 우버 [UBER]

시벅이와 배당이 2025. 4. 18. 07:00
반응형

🦊시벅이 & 🐻 배당이의 기업 토크!

우버 [UBER]


 

🦊 시벅이 : 배당~ 오늘은 좀 더 현대적인 느낌! 뭔가 도시 감성 물씬 풍기는 기업 얘기 듣고 싶어!! 🚖💨

“길 위의 혁명” 같은 그런 회사 없어? ㅋㅋ

 

🐻 배당이 : 오~ 그런 거라면 바로 "우버(Uber Technologies, UBER)"가 떠오르지.

‘이동의 개념 자체를 바꾼 기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

 

🦊 시벅이 : 우버!! 나도 써봤지~

앱 켜고 몇 초면 차가 와서 진짜 신세계였어! 근데 단순히 택시 앱만은 아니지 않아?

 

🐻 배당이 : 맞아. 우버는 단순한 차량 호출 앱이 아니야.

모빌리티 혁신 플랫폼이자, 물류·배달·자율주행·헬스케어까지 손 뻗치고 있는 거대한 테크 기업이지.

 

🦊 시벅이 : 와~ 듣기만 해도 엄청 다방면인데?

어떻게 시작된 거야 이 회사는?

 

🐻 배당이 : 2009년, "트래비스 캘러닉(Travis Kalanick)"과 "가렛 캠프(Garrett Camp)"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했어.

눈 내리는 날 택시가 안 잡혀서 "앱으로 차를 부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거지. ❄️🚗

 

🦊 시벅이 : 헉ㅋㅋ 현실에서 불편한 게 대박 아이디어로 바뀐 거네?!

그럼 지금 CEO는 누구야?

 

🐻 배당이 : 지금은 "다라 코스로샤히(Dara Khosrowshahi)"가 CEO야.

2017년에 우버를 구원할 사령탑으로 영입됐지.

 

🦊 시벅이 : 구원이 필요했어? 무슨 일이 있었길래?

 

🐻 배당이 : 초창기 CEO였던 캘러닉은 공격적인 성장 스타일로 유명했는데,

그 과정에서 성차별, 회사 내 갑질, 규제 위반 등 논란이 많았거든.

그래서 다라는 우버의 브랜드 이미지 쇄신안정화를 맡게 된 거지.

 

🦊 시벅이 : 오오!! 약간 재건의 리더 느낌!

다라는 어떤 인물이야?

 

🐻 배당이 : 그는 이전에 익스피디아(Expedia) CEO였고, 이란계 미국인이야.

신중하고 안정적인 리더십, 그리고 글로벌 운영 경험이 강점이지.

우버를 단순한 앱 회사에서 지속가능한 플랫폼 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중이야.

 

🦊 시벅이 : 진짜 스타일 바뀐 게 느껴지네~

그럼 지금 우버는 어떤 일들을 해?

 

🐻 배당이 : 크게 네 가지로 보면 돼:

  1. 라이드헤일링(차량 호출) – 우리가 아는 우버 택시!
  2. 우버 이츠(Uber Eats) – 음식 배달 서비스
  3. 화물 운송(Uber Freight) – 트럭과 화물 연결 플랫폼
  4. 자율주행·공중 모빌리티 등 미래 기술 연구

 

🦊 시벅이 : 자율주행이랑 공중 모빌리티까지?! 😳

그럼 우버는 그냥 IT 기업으로 봐도 되겠네?

 

🐻 배당이 : 완전 테크 기반이야.

데이터, AI, 머신러닝으로 최적 경로, 운전자-승객 매칭, 수요 예측까지 다 계산하지.

게다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로 전기차 전환, 공유 전동자전거·스쿠터도 확대 중이야.

 

🦊 시벅이 : 와~ 도시 이동을 통째로 바꾸려는 거구나!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까?

 

🐻 배당이 : 단기적으론 규제 이슈나 수익성 고민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시화, 물류 수요, 환경 변화에 따라 필수 플랫폼이 될 가능성이 커.

특히 우버 이츠나 자율주행 분야는 앞으로 더 커질 거야.

 

🦊 시벅이 : 배당이 얘기 듣다 보니 우버가 더 이상 ‘그냥 택시 앱’이 아니라

“도시 인프라 플랫폼” 같아 보이네 😍

오늘도 똑똑해진 시벅이~ 🚕


 

✅ 대화 요약

  • "우버(Uber Technologies, UBER)"는 2009년 설립된 모빌리티 혁신 기업.
  • 차량 호출부터 음식 배달, 화물 운송, 자율주행, 공중 모빌리티까지 사업 다각화 중.
  • CEO "다라 코스로샤히(Dara Khosrowshahi)"는 이전 익스피디아 CEO 출신으로, 브랜드 안정화와 플랫폼화 주도.
  • 데이터 기반 운영, ESG 강화, 전기차 전환 등 미래 전략 진행 중.
  • 도시화와 디지털 인프라 수요에 힘입어 장기 성장 가능성 높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