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고수 스킬 따라하기

[단타기본개념] 1️⃣ 지지선과 저항선이란?

시벅이와 배당이 2025. 5. 4. 07:00
반응형

오늘은 단타(단기매매)를 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인

‘지지선’과 ‘저항선’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처음 들어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아주 간단한 개념입니다.

 

.

🧱 지지선이란?

지지선은 주가가 더 이상 내려가기 힘들어 보이는 가격 구간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주가가 내려가다가 멈추고 다시 올라가는 지점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이 정도면 싸다"고 느껴서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가격대에서는 주가가 잘 떨어지지 않고 버티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보면

  • 어떤 주식이 계속 하락하다가 $100 근처에서 자꾸 멈춘다.
  • 사람들이 "$100이면 싼 것 같다"고 판단하고 매수에 나선다.
  • 이 경우 $100은 지지선이 된다.

(실전) 지지선을 긋는 방법

1. 과거의 저점들

  • 주가가 여러 번 하락했지만 같은 가격 근처에서 반등한 경우
  • 이 저점들이 수평선처럼 이어지면, 그 지점을 지지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2. 거래량이 늘어난 지점

  • 특정 가격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며 주가가 반등했다면, 그 가격대는 강한 지지선이 될 수 있다.

3. 이동평균선(MA)

  • 단기 혹은 중장기 이동평균선(예: 20일선, 60일선 등)이 지지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다.
  • 다만 이는 보조 수단으로 참고한다.

🧱 저항선이란?

저항선은 주가가 더 이상 올라가기 어려운 가격 구간을 말합니다.

주가가 상승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멈추고 다시 하락하는데,

이때 많은 투자자들이 "이 정도면 비싸다"고 생각해 주식을 팔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주가가 그 가격대를 넘지 못하고 자주 꺾이게 되는 형태를 보입니다.

💬 예를 들어 보면

  • 주가가 계속 오르다가 $120 근처에서 자꾸 멈춘다.
  • 이 구간에서 매도세가 강해지면 주가가 다시 하락한다.
  • 이 경우 $120은 저항선이 된다.

(실전) 지지선을 긋는 방법

1. 과거의 고점들

  • 주가가 여러 번 상승했지만 같은 가격 근처에서 하락한 경우
  • 이 고점들이 일직선상에 있으면, 그 선을 저항선으로 볼 수 있다.

2. 거래량이 급감하거나 매도세가 몰린 지점

  • 이전에 사람들이 많이 팔았던 가격대는 다시 올라갈 때 매물대가 되어 저항선 역할을 한다.

3. 이동평균선(역할 전환)

  • 과거에는 지지선이었지만 뚫리고 나면 저항선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이를 ‘지지선의 저항선 전환’이라 부른다.

 


 

🎯 실전 팁

사실 지지선과 저항선은 정확히 한 가격이 아니라 '가격대(zone)'으로 보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두 세번 이상 주가가 반응했던 가격대일 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1시간봉, 일봉, 주봉 등 차트의 단위를 달리 해보며 여러 관점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단하게 차트를 그려 지지선과 저항선을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지지선과 저항선을 왜 알아야 할까?

단타 매매에서는 어디에서 사고, 어디에서 팔지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은 이런 판단을 도와주는 강력한 힌트가 됩니다.

  • 지지선 근처에서 매수하면, 반등 가능성이 높아 유리하며
  • 저항선 근처에서 매도하면, 하락 전에 수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 이 때,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 지지선이 뚫리는 경우, 더 큰 하락이 이어질 수 있으며
  • 저항선을 돌파하는 경우, 큰 상승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를 ‘돌파(Breakout)’라고 하며,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용어 정리

용어
설명
지지선
주가가 자주 멈추고 반등하는, 매수세가 강한 가격대
저항선
주가가 자주 막히고 하락하는, 매도세가 강한 가격대
매수
주식을 사는 것
매도
주식을 파는 것
돌파
지지선 아래로 하락하거나, 저항선을 뚫고 상승하는 현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