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이야기

8️⃣ 시가총액이란?

시벅이와 배당이 2025. 3. 7. 07:00
반응형

 

📈 시벅이와 배당이의 경제 토크 – "시가총액이 뭐야?"


 

🦊 시벅이: (반짝이는 눈) 배당이야! 우리 회사 하나 차리면 시가총액 몇 조 원쯤 될까?! 🚀💰

🐻 배당이: (찻잔을 내려놓으며) …뭐? 갑자기 시가총액이라니, 너 요즘 또 무슨 경제 뉴스를 본 거야?

🦊 시벅이: (폰을 흔들며) 여기 봐봐! "○○기업, 시가총액 100조 원 돌파!" 이게 뭔지 도통 모르겠단 말이야! 시가총액이 대체 뭐야? 우리 회사도 100조 원짜리로 만들 수 있어?

🐻 배당이: (한숨) 일단, 시가총액이 뭔지부터 알아야겠지. 쉽게 말하면, 시가총액은 "한 기업의 시장 가치"야.

🦊 시벅이: 시장 가치? 좀 더 쉽게!!

🐻 배당이: 좋아, 아주 쉽게 설명해줄게. 예를 들어, 우리 동네에 "시벅이 마카롱"이라는 가게가 있다고 쳐보자. 이 가게가 10개의 주식을 발행했어. 그리고 지금 시장에서 한 주당 가격이 1만 원이라면, 시가총액은?

🦊 시벅이: 음… (손가락으로 계산) 10 × 10,000원 = 10만 원!

🐻 배당이: 정답! 바로 그게 시가총액이야. 주식의 총수(발행 주식 수) × 주당 가격으로 계산하는 거지.

🦊 시벅이: 오오! 그럼 주가가 오르면 시가총액도 올라가는 거야?

🐻 배당이: 딱 맞았어. 예를 들어, 네 마카롱 가게가 대박 나서 주가가 2만 원으로 오르면 시가총액은 10 × 20,000원 = 20만 원이 되는 거지.

🦊 시벅이: (감탄) 헐! 그러면 대기업들은 엄청난 주식 수에 엄청난 주가가 붙어서 조 단위 시가총액이 나오는 거구나!

🐻 배당이: 바로 그거야.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시가총액 기준도 좀 다르지.

🦊 시벅이: 오! 그 얘기 좀 해줘!

🐻 배당이: 한국에서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합쳐서 "전체 시가총액"을 계산해. 그리고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들을 "대형주"라고 부르고,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들은 "중형주"나 "소형주"라고 해.

🦊 시벅이: 그럼 삼성전자 같은 데가 대형주겠네?

🐻 배당이: 맞아! 한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보통 삼성전자야.

🦊 시벅이: 미국은?

🐻 배당이: 미국은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기업을 구분할 때 "대형주(Large Cap)", "중형주(Mid Cap)", "소형주(Small Cap)"로 나눠. 보통 대형주는 시가총액이 100억 달러(약 13조 원) 이상인 기업들을 말하고

중형주는 20억달러~100억달러,소형주는 20억달러미만 으로 나뉘어져

🦊 시벅이: 오오~ 그러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회사들은 대형주겠네?

🐻 배당이: 그렇지. 특히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은 시가총액이 3조5천억달러나 돼서 "초대형주(Mega Cap)"라고도 불러.

🦊 시벅이: 헉, 조 단위라니… 우리 회사가 시가총액 100조 원이 되려면 엄청나게 커야겠구나…

🐻 배당이: 그렇지. 그리고 시가총액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야. 중요한 건 기업의 실적, 성장 가능성, 산업 전망 같은 것도 함께 봐야 해.

🦊 시벅이: 그럼, 시가총액 높은 기업이 투자할 때 무조건 안전한 건 아니란 거네?

🐻 배당이: 맞아. 시가총액이 크다고 해서 무조건 성장하는 건 아니고, 시장 상황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할 수도 있어.

🦊 시벅이: 와, 오늘 진짜 많이 배웠다! 나도 경제 뉴스 볼 때 이제 시가총액이 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

🐻 배당이: (미소) 좋았어. 이제 네가 시가총액 100조 원짜리 회사를 만들 차례야.

🦊 시벅이: (단호) 그건 배당이가 투자해줘야 가능해! 💸💸💸

🐻 배당이: …역시 이렇게 될 줄 알았어. 😅


📌 요약:

✅ 시가총액 = 주식 수 × 주가

✅ 한국: 코스피·코스닥 시가총액 기준, 대형주·중형주·소형주 구분

✅ 미국: 대형주(Large Cap), 중형주(Mid Cap), 소형주(Small Cap) + 초대형주(Mega Cap)

✅ 시가총액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투자 대상은 아님!

😆 오늘도 경제 상식 UP! 🚀

 

반응형